티스토리 뷰
오늘은 독일 도르트문트 공항 특징, IATA, ICAO, 도시명, 한국에서 가는 법, 시내까지 이동방법에 대한 자료를 다음과 같이 포스팅 작성일 기준으로 가장 최신 정보로 확인 후 정리하였으니 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독일 도르트문트 공항 특징, IATA, ICAO, 도시명, 한국에서 가는 법, 시내까지 이동방법
독일 주재 한국 대사관 리스트, 위치, 주소, 연락처 정리
독일 출입국 정보, 비자종류별 체류 가능여부, 주의사항 정리
독일 여행, 여행자 보험 종류, 특징, 혜택, 장단점 정리
오늘 준비하여 포스팅하고 있는 독일 도르트문트 공항 특징, IATA, ICAO, 도시명, 한국에서 가는 법, 시내까지 이동방법은 포스팅 작성일을 기준으로 가장 최신 정보를 확인 및 정리 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하지만 향후 여러 사정상 독일 도르트문트 공항 특징, IATA, ICAO, 도시명, 한국에서 가는 법, 시내까지 이동방법은 변동 할 수 있음을 이해해 주시기고 해당 포스팅은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늘 정리하여 알려드린 독일 도르트문트 공항 특징, IATA, ICAO, 도시명, 한국에서 가는 법, 시내까지 이동방법 정보의 요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자료를 계속 참고해 주시고 FAQ 까지 읽어 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독일 도르트문트 공항 특징, IATA, ICAO, 도시명, 한국에서 가는 법, 시내까지 이동방법
한글공항명 | 도르트문트 공항 |
영문공항명 | Dortmund Airport |
공항코드1(IATA) | DTM |
공항코드2(ICAO) | EDLW |
영문도시명 | Dortmund |
안녕하세요. 오늘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대표 공항 중 하나인 도르트문트 공항(Dortmund Airport, IATA: DTM, ICAO: EDLW) 에 대해 아주아주 길고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공항의 역사와 특징, 코드 정보, 한국에서 가는 방법, 도착 후 도르트문트 시내까지 이동하는 방법까지 단계별로 꼼꼼히 정리하였습니다.
1. 도르트문트 공항 개요와 역사
도르트문트 공항은 1925년 소규모 비행장으로 시작해, 1960년대 중반 본격적인 민간 공항으로 개조·확장되었습니다. 현재는 연간 약 300만 명의 여객을 처리하며, 독일 동부 루르 지역(에센·도르트문트·뒤셀도르프 등)을 아우르는 제9위 규모의 공항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 위치: 도르트문트 시내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약 10km 떨어진 메트만(Mengede) 구역
· 운영 주체: Flughafen Dortmund GmbH
· 연혁:
o 1925년: 민간 비행장 개장
o 1950~60년대: 활주로 확장 및 터미널 신축
o 1990년대: 저비용항공 노선 유치 시작
o 2010년대: 연간 여객수 300만 명 돌파
o 2020년대: 환경·소음 저감 대책 강화
도시의 공업·광업 역사와 함께 성장해 온 이 공항은, 과거 탄광 노동자와 기계공을 위한 접근구조에서 오늘날 관광·비즈니스·저비용항공까지 폭넓은 수요를 흡수하고 있습니다.
2. IATA 코드 ‘DTM’과 ICAO 코드 ‘EDLW’의 의미
· IATA 코드 (DTM)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지정한 3글자 코드로, 항공권 예매 시스템이나 수하물 태그, 전광판 등에 표기됩니다. ‘DTM’은 ‘DortMunD’를 간단히 축약한 형태로, 전 세계 공항 식별 시 표준으로 사용됩니다.
· ICAO 코드 (EDLW)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운항·관제 목적으로 지정한 4글자 코드입니다. 앞의 ‘ED’는 독일(Deutschland)을, 뒤의 ‘LW’는 Dortmund Airport를 나타내며, 조종사·관제사 간의 비행계획서, 레이더 추적, 항행정보(ISIS) 등 전문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3. 활주로 및 항행 설비
도르트문트 공항은 단일 활주로(06/24)를 운영하며, 다양한 항공기 이·착륙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활주로 06/24
o 길이: 2,000m × 폭 45m
o 포장: 아스팔트, 안티스키드(미끄럼방지) 처리
o 계기착륙장치: ILS CAT I 지원
o 추가 설비: VOR/DME, GNSS, AWOS(자동기상관측)
· 관제·항행 설비
o 관제탑(tower) 주파수: 118.575 MHz
o 지상유도(ground) 주파수: 121.880 MHz
o ATIS(자동음성정보) 주파수: 124.980 MHz
o 비상 구조: CAT 9 화재·구조 설비, 제세동기(AED) 배치
2km 길이 활주로는 보잉 737·A320 계열의 단거리 여객기뿐 아니라 비즈니스 제트, 헬리콥터, 훈련용 프로펠러기까지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터미널 구조와 여객 편의시설
도르트문트 공항 여객 터미널은 단일 건물 구조로, 출발·도착·환승 동선을 한곳에 모아 이용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4.1 1층(도착층)
· 수하물 수취대: 회전식 벨트 4개
· 세관·출입국 심사: EU 내·외부 이동자 구분
· 렌터카 카운터: Avis, Sixt, Hertz, Europcar 등
· 택시 승강장 & 셔틀버스 승강장: 터미널 정문 바로 앞
4.2 2층(출발층)
· 체크인 카운터: A–F 존, 60여 개 창구 및 셀프체크인 키오스크
· 보안검색대: 레인 5개, 스마트 X-ray 시스템
· 쇼핑·면세점: 주류·향수·패션·기념품 브랜드
· 식음료: 독일 전통 카페·베이커리, 패스트푸드, 바(bar)
· 휴게 공간: 벤치형 휴식 존, 소파 라운지
4.3 3층(라운지·서비스)
· 공용 라운지 ‘AirLounge’: 유료 입장으로 음료·스낵·무선 인터넷 제공
· 비즈니스 라운지: 회의실·팩스·복사·간이 사무공간
· 가족·어린이 시설: 아동 놀이방
· 편의 서비스: 수면실·샤워실(유료), 무료 Wi-Fi(4시간 기본), 휴대폰 충전 스테이션
휠체어, 유모차 통로가 전 구간에 마련되어 있어 누구나 편안하게 공항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 휴게실과 의료 지원 센터도 갖추고 있습니다.
5. 주요 항공사 및 운항 노선
도르트문트 공항은 저비용항공과 정기·전세 노선이 집중되어 있으며, 화물 운송은 별도의 허브 공항에 비해 소규모로 운영됩니다.
· 저비용항공
o Ryanair: 런던 스탠스테드(London STN), 파리 베아노(Paris BVA), 바르셀로나(Barcelona BCN), 마드리드(Madrid MAD) 등
o Wizz Air: 부다페스트(Budapest BUD), 부쿠레슈티(Bucharest OTP)
o easyJet: 제네바(Geneva GVA), 밀라노 말펜사(Milan MXP) 등
· 전통 항공사
o Lufthansa (유럽 내 허브 연결): 프랑크푸르트(FRA), 뮌헨(MUC)
o Eurowings: 베를린(BER), 뒤셀도르프(DUS)
o TUI fly Deutschland: 크레타 섬, 그리스 산토리니(Santorini) 등 계절 관광 노선
· 전세·차터편
o 지중해·북아프리카 휴양지(팔마데마요르카, 튀니스 등)
o 겨울철 스키 휴양지(알프스 지역 전세편)
· 화물 노선
o 소규모 특송 위주 운항
o DHL·UPS·FedEx 등 화물 전용기는 인근 대형 허브(뒤셀도르프, 프랑크푸르트)를 경유
6. 한국에서 도르트문트 공항으로 가는 방법
직항 노선은 없으므로, 유럽의 주요 허브 공항을 경유해 연결 항공편 또는 육로 교통을 이용해야 합니다. 대표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6.1 프랑크푸르트 경유
1. 인천(ICN) → 프랑크푸르트(FRA) (대한항공·루프트한자·아시아나) 약 11시간
2. FRA → DTM: Lufthansa 연결편 약 1시간 10분
또는 FRA 공항역 → ICE(고속열차) → Dortmund Hbf → 공항익스프레스 버스
6.2 뮌헨 경유
1. 인천 → 뮌헨(MUC) (직항) 약 12시간
2. MUC → DTM: Eurowings 또는 Lufthansa 국내선 약 1시간 15분
또는 MUC 공항역 → ICE → Dortmund Hbf → 공항버스
6.3 뒤셀도르프 경유
1. 인천 → 뒤셀도르프(DUS) (대한항공·아시아나·루프트한자·KLM via AMS)
2. DUS → DTM: ICE 고속열차 약 40분 (일일 수차례 운행)
6.4 암스테르담·이스탄불 경유
· AMS 경유: KLM → KLM Cityhopper 연결편
· IST 경유: Turkish Airlines → Eurowings 차터편(달력에 따라 운항)
환승 최소 시간은 국제선→셍겐 구역 60분, 비셍겐→셍겐 90분 이상 확보하시면 안전합니다.
7. 도착 후 시내까지 이동 방법
도르트문트 공항에서 시내(도르트문트 중앙역, Hbf)로 이동하는 주요 교통수단입니다.
7.1 공항익스프레스 버스 (Airport Express)
· 노선: Dortmund Airport → Dortmund Hbf
· 소요 시간: 약 25분
· 배차 간격: 20분
· 요금: 성인 단일권 약 5.50유로 (VRR AB존)
7.2 셔틀버스 + S-반 연결
1. 셔틀버스: 공항 터미널 앞 → Holzwickede/Dortmund Flughafen S-반 역 (약 8분, 3.90유로)
2. S-Bahn S1: Holzwickede 역 → Dortmund Hbf (약 15분, 3.90유로)
7.3 택시
· 소요 시간: 시내 중심부 약 20분
· 요금: 약 40~50유로 (심야·수하물 요금 별도)
· 승강장: 터미널 1층 출구 바로 앞
7.4 렌터카
· 업체: Avis, Sixt, Hertz, Europcar 등
· 고속도로 진입: A40, A45, A2
· 주의 사항: 도심 환경구역 진입 시 배출가스 스티커(Umweltplakette) 필요
7.5 자전거
· 공유 자전거 스테이션: 터미널 정문 앞
· 거리: 공항 → 시내 약 10km
· 소요 시간: 45분 내외 (전용 자전거도로)
8. 대중교통 티켓 종류 및 구매 방법
· 단일권(Einzelticket AB존): 5.50유로, 60분간 유효
· 24시간권(TagesTicket AB존): 8.80유로, 당일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
· 48시간·72시간권: 각각 16.20유로·21.30유로
· VRR-App 또는 자동발매기에서 신용카드·현금으로 구매 가능
· VRR(A-Zonen) Day Ticket로 주변 도시(Unna, Holzwickede)까지 확장 이용 가능
단기 관광객은 24시간권을, 장기 체류자는 48시간권 이상을 구매하면 경제적입니다.
9. 이용 시 유용한 팁과 주의사항
1. 환전: 공항 환전소 환율이 다소 불리하므로, 시내 ATM(카드 인출) 이용 권장
2. 수하물 규정: 유럽 단거리선은 기내 수하물 허용 기준이 엄격하니, 항공사별 규정 확인
3. 보안검색: 액체류·전자기기 분리 수속이 까다로우니, 탑승 최소 1시간 전 도착
4. 날씨 대비: 루르 지역은 대륙성 기후로 겨울 한파·여름 무더위가 있으니, 계절별 옷차림 준비
5. 언어: 표지판은 독일어·영어 병기, 직원 영어 대응 원활하나 기본 인사말(“Guten Tag”, “Danke”) 익히기
6. 안전: 치안이 비교적 양호하나, 야간 외진 곳은 피해 주시고 귀중품 관리 철저
7. 환경구역: 도시 내 Umweltzone(환경구역) 진입 시 배출가스 스티커 필수
10. 관광 연계 & 추천 코스
도르트문트 공항을 기점으로 다음 명소를 연계해 보세요.
· 도르트문트 신시청(New Town Hall): 19세기 건축미
· 보르센파크(Borussia Dortmund 경기장): 축구 팬 필수 코스
· 루르메트로폴리스 박물관: 산업유산 전시
· 인근 주(州) 당일치기: 에센·뒤셀도르프·쾰른 등 철도 1시간 내 이동
· 라인강 크루즈 & 와인 투어: 뒤셀도르프에서 시작해 라인 강변 정취 즐기기
이상 10가지 질문과 답변이 도르트문트 공항 이용과 여행 준비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안전하고 즐거운 독일 여행 되세요!
독일 도르트문트 공항 특징, IATA, ICAO, 도시명, 한국에서 가는 법, 시내까지 이동방법 관련 FAQ
아래에는 도르트문트 공항(Dortmund Airport, IATA: DTM, ICAO: EDLW)에 대해 한국 여행자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실 만한 10가지 질문과 답변을 정중한 어투로 아주아주 길고 상세하게 정리했습니다. 여행 준비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도르트문트 공항은 어떤 공항인가요? 주요 특징을 알려주세요.
도르트문트 공항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대도시 도르트문트를 대표하는 중·소형 공항으로, 1925년 민간 비행장으로 출발하여 1960년대 중반 활주로와 터미널을 확장하면서 본격적인 민간 국제공항으로 발전했습니다. 연간 약 300만 명의 여객을 처리하며, 저비용항공사(LCC) 노선이 다양하게 운영되어 유럽 내 단거리·중거리 여행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공항 인근에는 산업 유산으로 남은 철강·광업 시설이 공원화되어 관광 자원으로 재탄생했고, 소음 저감과 친환경 운항을 위해 이착륙 절차 개선 및 전기 지상차량 도입 등 지속 가능한 운영 방침을 꾸준히 실행 중인 점이 큰 특징입니다.
2. IATA 코드 ‘DTM’과 ICAO 코드 ‘EDLW’는 어떤 의미인가요?
· IATA 코드 ‘DTM’: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서 부여하는 3글자 공항 식별자로, 항공권 예매 시스템, 수하물 태그, 공항 전광판 등에 사용됩니다. ‘DTM’은 ‘DortMunD’의 앞뒤 글자를 따온 약어로, 여행자에게 가장 친숙한 공항 식별자입니다.
· ICAO 코드 ‘EDLW’: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부여하는 4글자 코드로, 조종사·관제사 간의 비행 계획서, 관제 통신, 항행 정보 시스템 등에 활용됩니다. 앞의 ‘ED’는 독일(Deutschland)을, 뒤의 ‘LW’는 Dortmund-Wickede 지역을 의미하며, 전문 운항 정보 조회 시 반드시 사용됩니다.
3. 도르트문트 시내와 공항의 위치 관계는 어떻게 되나요?
도르트문트 공항은 시내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약 10km 떨어진 메트만(Mengede) 구역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자동차나 택시로는 약 15∼20분, 공항버스나 셔틀버스를 이용하면 약 25분 정도 소요되며, 도심의 주요 관광지인 알터 마르크트(Alter Markt), 보루시아 경기장(Signal Iduna Park)까지도 3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을 만큼 접근성이 우수합니다. 또한 인근에 자리한 운하와 녹지대가 잘 조성되어 있어, 공항 접근 경로 자체가 짧은 도시 외곽 산책로 같은 여유로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4. 활주로와 항행 설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도르트문트 공항은 단일 활주로(06/24) 체제로 운영되며, 다음과 같은 사양을 갖추고 있습니다.
· 길이 및 폭: 2,000m × 45m
· 포장: 고내마모성 아스팔트(anti-skid 처리)
· 계기착륙장치: ILS CAT I 지원, GNSS 접근 가능
· 항행 장비: VOR/DME, GNSS, AWOS(자동기상관측시스템) 설치
· 관제 주파수: Tower 118.575MHz, Ground 121.880MHz, ATIS 124.980MHz
2,000m 활주로는 보잉 737·에어버스 A320 계열 등 중형 제트 여객기의 이착륙을 안정적으로 지원하며, 소형 비즈니스 제트·프로펠러기에도 겸용으로 활용됩니다.
5. 터미널 구조와 여객 편의 시설은 어떻게 되어 있나요?
도르트문트 공항의 단일 여객 터미널은 3층 건물로, 출발·도착·환승 동선을 한 곳에 모아 편의를 극대화했습니다.
· 1층(도착층)
o 수하물 컨베이어 벨트 4개
o 세관·출입국 심사 데스크
o 렌터카 카운터(Avis, Sixt, Hertz, Europcar)
o 택시·셔틀버스 승강장
· 2층(출발층)
o 체크인 카운터 A–F(60개 창구) 및 셀프체크인 키오스크
o 보안검색 레인 5개, 스마트 X-ray 시스템
o 면세점·기념품 매장, 독일·유럽 브랜드 숍
o 식음료 구역(독일 전통 카페·패스트푸드·스낵 바)
· 3층(라운지 및 서비스)
o 유료 공용 라운지 ‘AirLounge’(음료·스낵·Wi-Fi)
o 비즈니스 라운지 및 소규모 회의실
o 어린이 놀이방
o 샤워실·수면실(유료), 휴대폰 충전 스테이션
전 구역에 휠체어·유모차 통로가 확보되어 있어,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6. 주요 항공사와 운항 노선은 어떤 것이 있나요?
도르트문트 공항은 저비용항공(LCC) 노선이 매우 발달해 있으며, 전통 항공사 연결편과 계절 전세 노선도 운영됩니다.
· 저비용항공사
o Ryanair: 런던 스탠스테드, 파리 베아노, 바르셀로나, 마드리드 등
o Wizz Air: 부다페스트, 부쿠레슈티 등 동유럽 노선
o easyJet: 제네바, 밀라노 말펜사
· 전통 항공사
o Lufthansa / Eurowings: 프랑크푸르트, 뮌헨, 뒤셀도르프
o TUI fly: 지중해 휴양지(팔마데마요르카, 산토리니) 계절 운항
· 전세·차터편
o 겨울철 알프스 스키장, 여름철 지중해 관광지 전세기
· 화물 운송
o 규모는 작지만 DHL·UPS·FedEx 특송 위주 화물기 운항
LCC와 전통 항공사 통합 다각화 덕분에 유럽 각지로 선택의 폭이 넓고, 요금 경쟁력도 뛰어납니다.
7. 한국에서 도르트문트 공항까지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직항편은 없으므로, 유럽 주요 허브 공항을 경유한 뒤 연결 항공편이나 육로 교통을 이용해야 합니다.
1. 프랑크푸르트 경유
o 인천(ICN) → 프랑크푸르트(FRA) 직항(대한항공·아시아나·루프트한자) 약 11시간
o FRA → DTM: Lufthansa 연결편 약 1시간 10분
o 또는 FRA 공항역 → ICE → Dortmund Hbf → 공항익스프레스 버스
2. 뒤셀도르프 경유
o 인천 → 뒤셀도르프(DUS) → ICE 약 40분 → Dortmund Hbf → 공항버스
3. 뮌헨·암스테르담·이스탄불 경유
o MUC 경유: Eurowings 연결편
o AMS 경유: KLM Cityhopper
o IST 경유: Turkish Airlines + 차터편
환승 최소 시간은 국제선→셍겐 60분, 비셍겐→셍겐 90분 이상 확보하시면 안전합니다.
8. 공항 도착 후 시내까지 이동 방법과 소요 시간·요금 안내
도르트문트 공항에서 시내(Dortmund Hbf 등)까지는 다음 수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Airport Express 버스
o 노선: Flughafen DTM ↔ Dortmund Hbf
o 소요: 약 25분
o 배차 간격: 20분
o 요금: 5.50유로 (VRR AB존 단일권)
· 셔틀버스 + S-반 연결
1. 공항 → Holzwickede S-반 역 (버스 약 8분, 3.90유로)
2. Holzwickede → Dortmund Hbf S1 노선 (약 15분, 3.90유로)
· 택시
o 소요: 20분 내외
o 요금: 40~50유로 (심야·수하물 요금 별도)
· 렌터카
o A40·A45·A2 고속도로 진입 직결
o Umweltzone 진입 시 배출가스 스티커 필요
· 자전거
o 공유 자전거 스테이션 터미널 앞
o 거리 10km, 소요 45분 내외 (전용 자전거도로)
버스 익스프레스와 셔틀+S반 연결이 비용과 시간을 모두 고려했을 때 가장 효율적입니다.
9. 대중교통 티켓 종류 및 구매 방법
· 단일권(Einzelticket): 5.50유로, 60분간 유효
· 24시간권(TagesTicket AB존): 8.80유로, 당일 무제한 이용
· 48시간·72시간권: 16.20유로·21.30유로
· VRR A-Zonen Day Ticket: 주변 도시까지 확장 이용 가능
· 구매처: 버스·셔틀 자동발매기, VRR 모바일 앱, Dortmund Hbf 매표소
단기 관광객은 24시간권, 장기 체류자는 48시간권 이상을 구매하시면 경제적입니다.
10. 여행 팁 및 유의사항
1. 환전: 공항 환전소 환율이 불리하므로, 시내 ATM(현지은행 카드) 이용 추천
2. 수하물 규정: 유럽 단거리선은 기내 수하물 규정이 엄격하니 사전 확인
3. 보안검색: 액체류·노트북 꺼내기 등 절차가 까다로우니, 탑승 1시간 전 도착
4. 기상: 루르 지역은 대륙성 기후, 겨울 한파·여름 무더위 대비
5. 언어: 표지판은 독일어·영어 병기, 직원 영어 대응 원활
6. 안전: 치안 양호하나 야간 외진 곳은 피해 주시고 귀중품 관리
7. 환경구역: 렌터카 이용 시 도심 Umweltzone 진입 스티커 필수
이상 10가지 FAQ가 도르트문트 공항 이용과 여행 준비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추가 문의가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문의해 주세요. 안전하고 즐거운 독일 여행 되시길 기원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독일 도르트문트 공항 특징, IATA, ICAO, 도시명, 한국에서 가는 법, 시내까지 이동방법에 대한 자료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정리한 독일 도르트문트 공항 특징, IATA, ICAO, 도시명, 한국에서 가는 법, 시내까지 이동방법 정보는 포스팅 작성 시점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하지만 독일 도르트문트 공항 특징, IATA, ICAO, 도시명, 한국에서 가는 법, 시내까지 이동방법은 향후 여러 사유로 인해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리며 해당 포스팅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독일 도르트문트 공항 특징, IATA, ICAO, 도시명, 한국에서 가는 법, 시내까지 이동방법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포스팅하였습니다.